산술 연산자
/ : 나누기 했을때 몫
% : 나누기 했을때 나머지
증감 연산자
++a : 해당 줄에서 값 증가 (변수 넣는다면 값 증가 된 값이 들어감)
a++ : 다음 줄에서 값 증가 (변수 넣는다면 값 증가 전 값이 들어감)
비트 연산자
AND(&) : 두 값이 모두 1일때만 1
OR(|) : 두 값이 모두 0일때만 0 나머지 경우는 1
XOR(^) : 두 값이 같을때 0 다를때 1
NOT(~) : 0은 1 로 1은 0 으로 반전
비트 계산은 10진수를 2진수, 8진수 16진수로 변환해서 계산하는 방식이고
변환하는 메서드들을 이용해서 10진수를 다른 변수로 바꿨다가
다른 변수를 10진수로 바꿨다가 할 수 있다
논리 연산자
AND(&&) : 두 값이 모두 true 일때만 true
OR(||) : 두 값이 모두 false 일때만 false 나머지 경우는 true
XOR(^) : 두 값이 같을때 false 다를때 true
NOT(!) : false은 true 로 true은 false 으로 반전
*비트 연산자, 논리연산자 에서 XOR은 둘다 ^ 를 쓰는데
정수 ^ 정수 면 비트연산자
불리언 ^ 불리언 이면 논리 연산자
시프트 연산자
<< : 전체 비트를 왼쪽으로 이동 / 곱하기 하는 효과가 있다
>> : 전체 비트가 오른쪽으로 이동 / 나누기 하는 효과가 있다
5 << 2 하면 00101 에서 10100 이된다 즉 5 에서 20이 된다
5 >> 2 하면 00101 에서 00001 이된다 즉 5에서 1이 된다
비교 연산자
== : 같다
!= : 다르다
쇼트서킷
연산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결과가 이미 확정 됐을때 나머지 연산 과정을 생략하는 것을 말한다
(5 > 3) || (3 < 5) 를 보면 왼쪽 값에서 이미 true 이기에 뒤에 과정은 생략한다
논리 연산자로 논리 연산을 수행하면 쇼트서킷이 적용되지만
비트 연산자로 논리 연산을 수행하면 쇼트서킷이 적용되지 않는다
다만 불필요한 계산과정을 생략하는 것이라 결과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대입 연산자
= : 대입
a = a + 3 을 a += 3 으로 축약 가능
삼항 연산자
(조건 / 참 또는 거짓) ? 참일 때 연산 결과 : 거짓일 때 연산 결과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클래스와 객체 (꼭 알아야 하는 내용만 뽑아서 정리) (0) | 2022.09.25 |
---|---|
[Java] 참조 자료형 (꼭 알아야 하는 내용만 뽑아서 정리) (0) | 2022.09.24 |
[Java] 제어문과 제어 키워드 (꼭 알아야 하는 내용만 뽑아서 정리) (0) | 2022.09.24 |
[Java] 자료형 (꼭 알아야 하는 내용만 뽑아서 정리) (0) | 2022.09.24 |
[Java] JDK (Java Development Kit), JRE (Java Runtime Environment) (0) | 2022.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