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원격 저장소 즉 회사에서 만들어둔 최종 저장소를 두고
Fork 한 다음에 로컬 환경에서 개발하며 개인 원격 저장소에 push 한 뒤
pull request 해서 소스 코드를 다루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이때 중앙 원격 저장소와 로컬 환경을 최신으로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동기화를 진행해 주는 방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1) remote repository 를 추가 하기
git remote -v 라는 명령어를 통해 확인해보고 없다면 git remote add upstream 로 추가하면 된다
upstream은 중앙 원격 저장소 (회사 레포지토리)
origin 은 개인 원격 저장소 (개인 레포지토리)

2) 중앙 원격 저장소의 최신 소스코드 가져오기
git 의 fetch 명령어를 통해 가져온다
git fetch upstream 을 치면 된다

3) 중앙 원격 저장소 최신 소스코드를 로컬에 merge 하기
git merge upstream/master 를 통해 merge 해서
이클립스, 인텔리제이에서 최신 코드로 업데이트된걸 확인 해본다

4) 로컬에서 작업 후 개인 원격 저장소로 push 하기
최신 소스코드를 동기화 후 추가할 코드가 있으면 추가해서
원격 저장소로 push 해준다
이때 그 사이 또 변경사항이 있을 수 있으니 pull을 먼저 진행 해보고
push 하는 것이 좋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깃허브 간단히 Git Clone (git bash 활용) (0) | 2023.07.12 |
---|---|
[Git] 깃허브 블로그 만들기 (테마 적용하기) (3) (0) | 2022.12.13 |
[Git] 깃허브 블로그 만들기 (Ruby, Jekyll) (2) (0) | 2022.12.13 |
[Git] 깃허브 블로그 만들기 (github.io) (1) (2) | 2022.12.13 |
[Git] Git Flow 이해하기 (0) | 2022.11.10 |